198회 <힐링 캠프>는 4대 천왕-정형돈 편이 방영되었다. 

최근 연예계 이슈로 회자되고 있는 '4대 천왕', 그 첫 번째 편의 테이프를 정형돈이 끊은 것이다. 사실 말이 4대 천왕이지,(정형돈처럼 굳이 누구라 밝히지 않는 것을 전제로) 이 '4대 천왕'이란 화두의 요점은, 급이 어울리는가 여부를 두고 화제를 되는 한 명의 인물을 제외하고, 당연히 천왕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두 사람을 차치하고, 당연히 이제는 천왕급이 된 정형돈의 존재이다. <무한도전>에서 '웃기지 못해' 고전하던 그 정형돈이 이제는 그 누구와 파트너가 되도, 빵빵 터지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명불허전'이 된 정형돈이, 4대 천왕 시리즈의 첫 회를 장식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지사다. 

하지만 막상 500명의 mc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그리고 그들과 함께 한 시간 여의 프로그램을 해낸 정형돈은 예능 대세 정형돈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보다는 그의 말대로, 좋아하는 일이, 이제는 가장 잘 하는 일이 되어버린, 프로페셔널한 방송인의 가장 진솔한 모습을 보여준 방송이었다. 4대 천왕으로서의 자부심, 성취감 대신, 두 아이를 둔 가장으로 사회 생활의 전성기를 누리는 잘 나가는 남자의 뒤안길을 슬쩍 드러낸 진솔한 방송, 어찌보면 개편된 <힐링캠프>이래, 가장 '힐링'의 본질에 다가간 방송이었다. 



대세가 된 연예인 정형돈의 우유부단함(?)
24일 방송 중 정형돈이 김제동이 무심코 내뱉은 4대강, 대통령 등의 용어 자체에 '알레르기'반응을 보인 것에 대해 논란이 되었다. 하지만, 막상 방송을 보면, 정형돈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것은, 그 단어 뿐만이 아니다. 자신을 '규정'하는 그 어떤 정의에 대해서, 정형돈은 일관되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치 24일의 컨셉이 '자기 부정'이라도 되는 것처럼. 그리고 그런 과정에서 등장한 4대강, 대통령이란 단어에 대한 반응은 오히려, 그런 일련의 '자기 부정'의 과정에서 발생한 해프닝에 불과했다. 오히려, 그런 단어에 조차 '화들짝' 조심스레 해야 하는 모습을 보인 정형돈의 모습은, 그런 단어 조차 거르고 조심해야 하는 연예인의 숙명을 '셀프디스'한 역설적 표현이라 보는 것이 옳다. 

그렇게 시종일관 정형돈은 '우유부단'이라는 자막이 어색하지 않을 만큼, 자기 자신에 대한 어떤 규정이나 정의에 대해 불편해 했다. 그리고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세상이 그 누군가, 혹은 어떤 것에 대해 예단을 내리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방청객 mc들은 그런 정형돈에 대해 겉은 유재석을 닮으려하지만 속은 박명수라는 정의를 내리기도 하고, 자신을 내보이길 주저하는 정형돈에 대해 500명을 앞에 두고 떨고 있다 우스개로 퉁치려고 김제동이 나섰지만, 정형돈은 그 어떤 규정에 대해, 쉬이 수긍하지 않는다. 

오히려 정형돈의 본 모습은 '죄송하지만 오늘 결코 끝까지 자신의 솔직한 모습을 보여드리지 못할 것'이라는 그의 고백에서 부터 드러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대학생들을 앞에 두고 한 두번 째 강연에서 '내가 뭐라고?'하는 직시와, 그 뒤로 단 한번도 강연에 나서지 않았다는 자기 결단이, 어쩌면 오늘날 그 누구와도 좋은 호흡을 이루어 예능을 이끌어 가는 4대 천왕이 된 정형돈의 저력을 엿보게 한다. 

그리고, 예능계의 대세가 된 정형돈이지만, 가장 좋아하는 일이 가장 잘 하는 일이 되어버린 처지, 그리고 언젠가 자기에게 시간이 주어진다면 자신의 생각을 물건으로 구현해내는 일을 해보고 싶다는 소망에서, 무형의 언어에 기탁하여 인기를 끄는 연예인의 슬픈 숙명, 나아가 '밥벌이의 고달픔'마저도 엿보게 된다. 그래서 500명의 mc들은 '솔직하지 못한' 정형돈에게 그 어느때보다도 공감하고, 함께 힐링하게 된다. 



500명과의 공감, 김제동의 딜레마
24일의 방송 중 가장 빛을 발한 장면은 아이러니하게도, 29살 먹은 직장인의 사연을 함께 하지 못한 순간이었다. 새롭게 개편된 <힐링 캠프>의 방식대로 출연한 연예인은 방청객으로, 그리고 MC라 지칭되는 일반인의 사연을 듣고 '멘토링'을 해주는 시간을 갖는다. 거기서 등장한 사연, 29살 먹은 보육 교사는 바로 오늘 직장에 사표를 냈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 사연에 대해 정형돈은 이의를 제기한다. 자기가 뭐라고 남의 인생에 이렇다 저렇다 이야기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그가 강연을 하지 않게 된 사연, 혹시라도 누군가 자신의 이야기로 인해 영향을 받을까 함부로 이야기 하지 않는다는 정형돈의 생각에, 김제동은 웃으며 사람들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고 했지만, 이 장면은 <힐링 캠프>의 새 포맷의 장단점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낸 순간이었다. 

방청객이 MC가 된다는 <힐링 캠프>의 새로운 포맷, 불난 집에 불구경 하는 걸, 최고의 재미로 치는 우리네 정서에 걸맞게, 방청객 MC들은 자신들이 미디어를 통해 접한 정보를 통해 게스트로 등장한 연예인과 소통하고자 한다. 자신을 드러내길 혼란스러워하는 정형돈에게 겉은 유재석이지만 속은 박명수이기 때문아니냐고 질문한 방식이 그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연예인들은 그런 방청객 MC들의 질문에 적당히 호응하며 자신들의 이미지메이킹을 한다. 그래서, 소통과 공감을 하는 듯이 보이고, 또 그래서 천편일률적이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정형돈 편의 재미는 그런 <힐링 캠프>가 가지고 왔던 일련의 스테레오 타입을 벗어난 일탈의 즐거움이다. 정형돈은 방청객 MC가 내린 규정에 자신을 딱히 이렇다 정의 내리기 힘들다고 '소통'을 거부한다. 그리고 자신의 사연을 들고 나온 방청객에게, 당신의 삶에 대해 왜 내가 왈가왈부하느냐고 반문한다. <힐링 캠프>의 존재론에 대한 반격이다. 하지만, 그래서 24일의 <힐링 캠프>는 그 어느때보다도 신선했고, 정형돈의 인간적인 매력이 돋보였다. 그가 이 시대의 4대 천왕으로 자리 매길할 만큼의 내공과 자기 색깔이 충분히 드러난 한 회였다. 

그렇게 정형돈의 매력이, 그 스스로의 내공에 의해 빛을 발하는 순간, 하지만 종종 그런 정형돈의 존재론을 흐트러트리는 존재가 있었다. 다름아닌 김제동이다. 김제동하면 떠오르는 예의 스타일로 김제동은 정형돈 편을 이끌어 가고자 했다. 하지만, 정형돈은 완강히 그런 김제동 식의 진행에 거부한다. 정형돈이 한 말에 대해 어느 틈에 김제동이 '예단'하고 '정의' 내리려 하면, 정형돈은 그게 아니라 '정정'하고 '정의 내림'을 거부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김제동의 쇼가, 진솔한 듯 하지만, 보다보면 뻔한 그 딜레마가 드러난다. 김제동의 이야기 쇼는, 진솔한 듯 하지만, 김제동에 의해, '네이밍'된 규정성이 강하다는 단점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24일 <힐링 캠프>의 재미는 그런 '네이밍'된 김제동 쇼에 정형돈이 휩쓸려 들어가지 않고, 자기 색을 분명히 드러내며 충돌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이것은, <힐링 캠프>의 가능성이자, 동시에 숙명적인 과제로 남는다. 
by meditator 2015. 8. 25. 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