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스타의 요람이라 여겨지는 <학교> 시리즈가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그런데 전통의 명문 <학교>가 무색하게 8회를 맞이한 <학교 2017>의 중간 성적표는 시원찮다. 아직도 첫 회 5.9%가 최고 시청률이며, 야곰야곰 오른다 해도 4%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8회 4.7%) 


새로운 스타 탄생인가 했지만, 이미 각종 예능과 광고를 통해 이미지가 소진된 라은호 역의 김세정의 연기가 극과 어우러지지 않는다 질타를 받았고, 무엇보다 배우들의 연기를 논하기에 앞서 학교 시리즌데 과연 작가가 학교를 다녀본 적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될 정도로 현재의 학교 현실과 괴리된 해프닝으로 점철된 초반의 설정들이 이 시리즈를 기대했던 시청자들의 등을 돌리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제 8회를 맞이한 <학교 2017>은 초반의 우려와 달리, 원래 드라마가 말하고자 하는 본 궤도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다. 무엇보다, 과장된 연기, 혹은 만화같은 해프닝을 넘어서 현재 학교 현실의 문제점을 드라마 속에 담아내려 애쓰고 있는 중이다. 



생기부란 이름의 계급 사회 보고서 
사립 금도고등학교, 점심 시간 배고파 달려온 학생들에게 성적 순으로 밥을 먹을 것을 종용하는, 성적 지상주의의 학교, 그리고 사립학교답게, 이 사립 학교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돈 있는 아이들의 원만한 학교 생활과 진학 지도에 매진하는 학교. 이런 학교의 현실을 단 하나로 증명하는 건, 현재 대학 입시 시스템에서 '생기부', 생활기록부라는 미명 하에, 학생들의 학창 시절의 기록을 일일이 나열하여, 입시에서 유불리한 증거 자료로 작동하는 이 서류가, 오늘날 대학 입시에서 학생들의 목을 조여온다. 

그 '생기부' 지옥도의 현실은 전교 1등 송대휘(장동윤 분)에게조차 상대적 박탈감을 안기고, 이미 1등이 정해진 수학 경시 대회의 시험지를 훔치기 위해 교무실에 잠입케 하는 사건의 주인공이 되도록 만든다. 전교 1등조차 대학을 가기 위해서는 스펙이 필요한 오늘날 입시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즉 생기부는 학생들의 학교 생활을 기록하지만, 그 기록의 대부분은 학교 생활의 상당 부분은 학생들이 딴 교내, 교외 각종 수상 실적으로 채워지고, 학내 실적은 공부 잘 하는 아이들 위주로 재편된다는 것이 이미 현재의 입시 현실에서는 공공연한 사실이다. 거기서 더 나아가 돈과, 돈에 뒷받침된 정보로 선점된 교외의 수상 실적은 결국 오늘날 생기부가 빈익빈 부익부의 대한민국 계급 사회의 보고서가 되도록 만들고 있다. (지난 5월 ebs 다큐 프라임 <대학 입시의 진실> 6부작을 통해 통렬하게 지적된 바 있다) 

그러기에 가난해서 오로지 공부 밖에 할 수 없는 송대휘는 공부를 잘함에도 불구하고 생기부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 밖에 없는 처지이고, 더구나 사립학교인 금도고에서 재단 이사장의 아들인 현태운(김정현 분)의 1등이 따논 당상으로 사전 모의된 상황에서, 공부만이 유일한 동앗줄이던 대휘는 불법과 학칙의 경계를 넘어버리고 만다. 

이렇게 드라마는 공부만 잘해서도 대학을 갈 수 없는 오늘날 대학 입시, 아니 철저하게 금권 계급 사회가 되어버린 현실을 담는다. 그리고 거기에 7회에서 8회에 걸쳐 등장한 유빛나(지헤라 분)와 서보라(한보배 분)의 음악실 난투극을 통해 그 금권사회의 아이러니에 색을 더한다. 학교 운영위원회에 큰 영향을 끼치는 빛나의 집안, 그런 상황에서 빛나는 안하무인 격으로 자신이 없어진 볼펜을 찾는다는 명목 하에 보라의 필통을 뒤엎고, 이는 두 아이의 난투극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정작 빛나의 엄마는 변호사를 동원하여 학교 폭력 위원회를 열어 보라의 응징을 강하게 요구한다. 이런 얼토당토않은 상황에 이미 1학년 때 이와 비슷한 상황에서 선생님의 묵살로 억울한 징계를 당한바 있던 보라는 가해자로써의 처분을 감수하려 하고. 결국 학생을 폭력의 위험으로 부터 구해줘야 할 학교 폭력 위원회라는 제도조차 가진 자들의 아이들을 구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되어가는 과정을 드라마는 에피소드로 더한다. 








생기부 지옥도를 살아가는 아이들
x라는 어설픈 히어로 해프닝으로 시작된 드라마는 차근차근 회를 거듭하며 오늘날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며 받는 고통의 현실로 한 발 한 발 차근차근 발을 디뎌나간다. 오죽하면 어설픈 교육 개혁 대신, 그냥 성적대로 한 줄로 대학을 가는 것이 가장 공평하다는 여론이 형성되는 현실은 송대휘의 절박함으로, 체벌은 없어졌지만, 벌점이 체벌보다 더 가혹한 낙인이 되는 현실은 라은호와 보라의 아득함으로 드라마는 현실을 담는다. 덕분에 아이들은 꿈을 꾸는 대신 꿈을 이루기 위해 교무실을 침범하고, 가진 자의 순서대로 배열된 학교 사회에서 운수 회사 딸로 자신을 코스프레하는 홍남주(설인아 분)처럼 부의 그늘에 자신을 숨긴다. 

그리고 이제 절반의 궤도를 넘어가는 드라마는 그 억압적 현실 속에 신음하던 아이들이 저마다 자신의 매듭을 풀어내기 시작한다. 교무실에 들어가 시험지를 훔쳤던 대휘는 자신이 저지른 일을 대신 막아서는 은호와 태운으로 인해 비로소 당당하게 자신의 잘못을 세상에 드러내게 된다. 그리고 그 시인과, 그에 따른 처벌은 뜻밖에도 늘 가파른 사다리를 오르느라 숨가빴던 대휘가 모처럼 한숨을 돌리는 안식으로 돌려받는다. 홍남주의 위선은 뜻밖에도 거리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자신의 아버지를 전혀 스스럼없이 대하는 라은호의 당당함에서 무너진다. 

서울대를 향한 가파른 사다리에 몸을 맡긴 전교 1등 송대휘의 사연도, 자신의 가난함을 부잣집의 그늘에 숨긴 홍남주의 위선은 새로울 것 없는 에피소드이다. 하지만, 이 에피소드들이 '생기부' 지옥도와 만나 현실성을 얻는다. 그리고 그 지옥 속에서도 아이들은 자신의 문제 속으로 들어가 해결의 실타래를 조금씩 풀어나간다. 그런 의미에서 시청률과 상관없이 여전히 <학교>는 청소년들의 성장통을 그려내는 그 전통의 궤도에서 벗어나지 않고 순항 중이다. 

물론 아쉬운 점도 여전히 많다. 보라의 학폭위 사건에서 무기력해 책임감을 절감했던 선생님이나 전담 경찰관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희희낙락 애정 전선에 몰입하는 상황은 마치 여러 편의 단편 에피소드를 모아놓은 듯 극의 통일성을 해친다. 또한 신인들의 어설픔이나, 과잉된 감정과  틀에 박힌 중견 배우들의 연기가 드라마의 몰입을 방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드라마의 초반의 난맥을 헤치고, 여전히 2017년 청소년 드라마로서 <학교 2017>의 미덕은 유효하다. 




by meditator 2017. 8. 9. 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