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군의 태양>이 나날이 시청률 고공행진을 할 때마다 되돌아 오는 질문이 있다. 홍정은, 홍미란 자매님들(이하 홍자매) <빅>때는 왜그러셨어요? 

이제는 대세가 된, 연기돌 랭킹 1위에 빛나는 수지가 출연했음에도, 그녀의 작품으로 언급조차 회피되고 있는 <빅>과 <주군의 태양>은 동일하게 홍자매의 작품이지만, 과연 이 두 작품이 홍자매의 작품이 맞는가 싶게 다른 느낌의 드라마이다. 
같은 작가 작품이라고 꼭 같아야만 돼? 라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까지, 두 사람의 작품을 되돌아보면, <최고의 사랑>, <환상의 커플> 등 인기를 누린 것일 수록 <주군의 태양>과 거의 같은 포맷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오히려 주인공들이 설정은 비정상적이지만, 상대적으로 멀쩡해 보였던, <빅>이 홍자매에겐 외도와도 같은 성격의 작품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그렇다면, 이른바 홍자매의 작품답다라는 건 어떤 걸 말하는 것일까? 그걸 한 마디로 딱 잘라 말하자면 '병맛'이다. <주군의 태양>은 홍자매 특유의 병맛이 펄떡펄떡 살아움직인다. 그러니 재미없을래야 재미없을 수가 없다. 



"꺼져!", "꺼져, 꺼져!", '얼른 꺼져!" " 꼭 세번을 말해야 알아 듣는 군"
위의 대사를 글자로만 읽으면 굉장히 모욕적이다. '인격 모독'으로 고소를 해도 시원치 않을 정도로. 물론, 처음에 주중원(소지섭 분)이 어색한 손짓으로 저 대사를 칠 때, 뭐지, 이 작위적 대사는? 하면서, <최고의 사랑>의 '극뽁'처럼 유행어 하나 만드려는 거야? 하면서 비웃음이 흘러나왔다. 더구나 늘 정극의 연기만 하던 소지섭이 홍자매 특유의 리듬과 겉돌던 시기이니 더더욱 그랬다. 그런데, 그게 몇 번 반복이 되면서, 어색하면 어색한대로 중독성이 있는 거다. 이즈음에는 '꺼져' 한 번 할 때가 되지 않았나 하면서, 이제 6회차에 들어, 소지섭조차 드라마의 리듬에 조금씩 몸을 맡기면서, 그 어색한 맛의 '꺼져'조차,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게다가 공효진은 늦고 빠르고가 없이 이미 그녀 자신의 연기력으로만 초반부터 무리수일 수도 있는 이 드라마의 설정을 책임지고 가고 있다. 그녀만큼 말도 안되는 드라마 속 캐릭터 자체로 사랑스러운 여인이 또 어디 있을까 싶게. 

"한번만 만져봐도 돼요?"/"안돼, 꺼져!"
홍자매 드라마의 대사들은 흔히 아이들간의 대화 같다. 어른들이 듣고 있노라면 뭐 저리 막말을 하나? 싶거나, 쓸데없는 말만 하나? 싶은데, 지들은 그게 하냥 좋다고 하는. 언뜻 들으면 욕이 반이 넘는 막말인데, 그 속에서 정이 넘치고, 우정이 깊어지는 그런 묘한 맛? 그게 홍자매의 대사들이다.  
그도 그럴 것이, 홍자매의 드라마 속 캐릭터들은 분명 어른인데도 아이들이다. 덩치만 어른일 뿐, 사탕을 빼앗기기 싫어서 앙탈을 부리고, 온갖 모험을 불사하는 그 아이들의 마음 그대로이다. 아마도 어른 들 사이에서 '꺼져'를 세 번 쯤 하면, 마음 속에 칼을 갈게 되겠지만, 아이들같은 어른들이기에 얼마든지 그 보다 더 심한 말도 가능하다. 아마도 그래서, 유치하다라는 평가를 받고, 아마도 그래서, 어른인 척, 혹은 멋있어 하는 가식이 없어서, 같은 젊은이들 사이에, 일단 홍자매 드라마는 보고 판단한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일 것이다. 

<주군의 태양>의 주인공 혹은 그 주변의 사람들은 어느 하나 멀쩡한 사람들이 없다. 일단 쇼핑몰의 사장 주중원은 어릴 적 납치를 당했던 트라우마로 글을 읽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그것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사람들을 피하고 자신만의 성 속에 숨은 채, 주군처럼 행사한다. 오직 이익을 위해서만 억지로 웃음을 만들고 사람을 만나는 그 주변엔 그를 이해하는 김비서 말고는 그 누구도 없다. 
태공실은 말할 것도 없다. 애초에 설정부터 귀신을 본다는, 거기에 귀신이 들러붙어 자신의 사정을 해결해 달라고 애걸복걸한다는 이 여자는 등장부터 잠도 못자고, 머리도 제대로 감지 못하는 루저 그 자체이다. 
남녀 주인공만이 아니다. 조만간 태공실의 어설픈 연적으로 등장하는 태이령(김유리)은 전지현의 밥솥 광고를 패러디한 것이 분명한 냄비 광고 하나만으로도 그녀의 캐릭터를 한껏 뽐냈다. 어디 그뿐인가, 제일 멋있어 보이는 강우(서인국 분)도 귀신 이야기만 나오면 쫀다. 
번듯한 어른이지만 속내를 알고보면 다 한 끝차이로 찌질하기가 이를데 없는 '병맛'어른 들인 것이다. 그리고 그 어른들이 내뱉는 대사들은 아이들 수준 그대로다. 

대한민국 드라마답게 <주군의 태양>에서도 재벌이 나오고, 스타가 나온다. 그런데, 그들은 다른 드라마와 다르게 참 없어보인다. 권위는 허세요, 가진 건 스쿠루지 저리 가라게 짠돌이에, 정신 세계는 딱 아이 수준이다. 학창 시절 평가하던 어른들 딱 그 모습이다. 묘한 카타르시스를 준다. 
그런 그들이기에, 가진 것 없는 여주인공과 얽히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앞으로 엮어져갈 그들의 사랑이 전혀 불공정해 보이지 않는다. 재벌이 한낫 루저녀를 사랑하는 것이 호의로 보이지 않는다. 드라마 속 주중원과 태공실이 계약 관계로 동등하게 엮이듯, 그들의 사랑조차 동등해 보인다. 심지어 나중에는 오히려, 태공실이 더 많은 걸 줄 수도 있어 보인다. 
학창 시절 아이들이 어른들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렇다. 자신들보다 더 많이 알고, 가졌지만 자신들보다도 못한 사람이라는, 냉소어린 그 시각이 그대로 드라마로 연결된다. 
흔히 청소년들과 대화를 하기 위해 눈높이를 맞추라고 하는데, 홍자매의 드라마가 딱이다. 그들의 정서에 맞춘 어른들의 세계.  

흔히 '병맛'의 시초를 만화로 본다. 철 든 어른들이 보기엔 이해할 수 없는 낄낄거리며 한없이 빠져들게 하는 그 매력을 병신미, 혹은 병맛으로 정의한다. 혹자는 이걸 잉여력이 넘치는 루저들의 집합체인 젊은 층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이라고도 말한다. 그에 반발해, 일찌기 조선시대 김삿갓에서부터 비롯된 해학과 페이소스의 유산이라고도 정의 내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 무엇이 되었든, 홍자매 드라마는 재밌다. 그리고 그게 바로 '병맛'의 본령이다. 꼭 무슨 교훈을 남겨야 해? 의미가 있어야 해? 하하 호호 깔깔거리고 서로 친해지고, 사랑하게 되면 그뿐. 


by meditator 2013. 8. 23.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