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람가>와 봉만대, 이 처럼 언밸러스한 조합이 있을까? 하지만, 그 이질적인 조합을 JTBC <전체 관람가>가 해냈다. 영화와 예능의 블록버스터 콜라보를 주창하는 <전체 관람가> 그 두 번째 작품의 주인공은 바로 우리에게 19금 에로 영화의 대명사로 알려진 봉만대 감독이었다. 




19금 에로 영화 감독이 아닌, 그저 감독 봉만대
그의 앞에 붙여진 수식어답게 동료 감독을 비롯하여, MC 윤종신, 김구라, 문소리를 비롯하여, 단편 영화 제작에 돌입하여 그를 만난 제작진, 배우들은 모두 그에게 '19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MC이자, 그의 친구로써 봉만대 감독의 <떡국열차>에 출연한 바 있는 김구라가 그가 19금 감독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에로의 종착점은 휴머니티'라던가, 사실은 봉만대 감독의 장기는 '19금에 가려진 스토리'라던가 하는 동료 감독의 평가는 그럼에도 호기심어린 그래서 '19금은?'하는 질문에 묻히고 만다. 

그런 자신의 궤적이 이름표가 되어버린 봉만대 감독, 그가 야심차게 '19금'이 아닌 '휴머니즘 전체 관람가'를 위한 '잠정' 에로 영화 은퇴를 선언하지만, 매번 그에게 던져지는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고개를 숙여야 하는 숙명은 예능 <전체 관람가>가 보여준 봉만대 감독편의 첫 번째 관전 포인트이다. 

통과 의례처럼 19금의 질문을 넘기자 수월하게 진행된 촬영 일정, 하지만 MC 문소리의 촬영 날씨는 '하늘이 도와야 한다'는 설레발이 뜻밖에 영화 감독 30년(?) 인생에 발목을 잡는다. 지난 주 정윤철 감독 편이 영화 보다 재밌는 메이킹이라는 평을 받았듯이, 이번 주도 어김없이 <양양>의 작명 과정에서, 봉준호의 <설국 열차>를 <떡국열차>로 패러디했던 바 봉만대 감독의 전작을 빗대, 봉창동의 <양양>이라는 작명 과정에서 부터 시작하여, 출연 계약서 등등의 과정에서 즉흥 환상곡의 쇼팽 정윤철 감독만큼이나, 개성있는 봉만대 감독의 영화 촬영 과정이 시청자의 시선을 잡는다. 

특히 하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한없이 부드럽고 유연하다가도, 촬영을 접어야 하는 악천후 속에서도 빠듯한 일정을 맞추기 위해 흔들림없이 진두지휘하는 봉만대 감독의 의지는 MC 문소리의 지적처럼 왜 그가 '보수적'인 한국 사회에서 19금이라는 영역을 고수해 올 수 있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시간이 되었다. 

한 편의 시, <양양>; 봉만대라서 신선했더, 그리고 어쩐지 아쉬웠던
JTBC<전체 관람가>는 주어진 주제 중에 감독들이 하나의 주제를 선택하여 15분 분량의 단편 영화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그에 따라 봉만대 감독은 '고령화사회의 딜레마'를 감동적으로 그려낸다.

양양으로 가는 국도, 캐러반을 메단 미니 트럭이 경찰의 속도위반 단속에 걸린다. 규정 속도를 지켰다는 차주 하태(기태영 분)와 실랑이를 벌이다 운전 면허증을 받아들고 캐러반을 살펴보던 경찰, 다짜고짜 캐러반의 창문이 열리며 하태의 부친 상태가 등장하며 예전 방식으로 '수고하는 경찰분에게 돈이라도 몇 푼 쥐어드리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다음 장면, 불법인 캐러반에서 하태의 차로 바꿔탄 부친 상태는 연신 아들의 융통성없음에 대해 잔소리를 늘어놓지만, 그 잔소리는 결국 아들의 차 시트에 '실례'로 마무리된다. 이어진 옷을 갈아입히려는 아들과 혼자 하겠다며 어린 아들에게 하듯 아들에게 뭇매를 가하는 아버지의 해프닝은 뇌졸증으로 자기 몸도 못가누는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를 모시는 아들의 힘겨운 부양의 현실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그리고 비바람이 불어대는 양양에 도착한 부자, 형이 일하는 곳으로 추정되는 서핑샵에서 형의 부재를 확인한 하태는, 형을 기다리는 대신, '잠시 아버지를 돌봐달라'는 쪽지 하나를 남긴 채 캐러반을 분리해버리고 아버지에게 인사도 없이 홀로 길을 떠나버린다. 하지만 국도에서 난리를 치는 아버지가 있는 캐러반의 잠긴 문이 그의 발목을 잡고, 본의 아니게 세 부자는 한 자리에 둘러앉지만 결국 형제는 난투극으로 치닫는다. 

결혼을 하면 후에 자식에게 짐이 될까, 아버지 재산도 안받고 홀가분하게 산다는 형 중태(권오중 분)는 '미니멀 라이프'를 운운하며 아버지와 동생에게 '요양원행'을 강권하며 아버지를 외면하고자 한다. 그런 형에게 지난 1년간 아버지를 모신 고통을 호소하던 동생은 결국 '치사하다'는 말과 함께 뒤엉켜버리고 마는데......

정윤철 감독의 <아버지의 검>이 마지막 장면 게임 속 캐릭터 아버지와 현실 아들과의 만남이란 환타지를 통해 '왕따에 시달린 아들'에게 희망을 제시하며 감동을 준 것처럼, <양양> 또한 현대판 고려장인 아버지 떠넘기기의 극한 현실을 사랑했던 아내와 어린 아들들을 따라나선 아버지의 '환타지'를 통해 극적으로 해결해 나간다. 이 영화의 베스트 관객평인 '버릴 수 없는 정'의 딜레마를 환상을 따라 바다로 간 아버지와 그 아버지를 구하러 바다로 뛰어든 현실의 형제를 통해 '누선'을 자극하며 마무리지으며 '휴머니스트 봉만대'를 증명해 낸다.









남겨진 질문
두 번째 영화를 마무리지은 <전체 관람가>는 게임과 현실의 조화, 에로 영화가 만든 전체 관람가 가족 영화라는 신선한 시도로 감독들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보인다. 하지만 동시에 숙제도 남긴다. 

무엇보다 3000만원이라는 작은 제작비와 짧은 제작 기간을 통해 15분이라는 제한된 '단편'을통해 무엇을 그려내야 하는가라는 원론적 질문이다. 봉만대 감독의 <양양>에서 영화가 마무리되고 던져진 '영화 속 운동화의 상징'이나, 특별 출연인 김구라나 브릿지로서의 김혜나의 등장의 의미에 대한 질문들처럼, 장편을 줄인 것이 아닌 정윤철 감독의 정의처럼, '한편의 시', 그래서 '서사'보다 '표현'이나 '정서'로서 다가가야 할 단편 영화에 대해 고민을 남긴다. 

또한 정윤철 감독이 시도했던 바 게임과 실사 영화의 결합이나, 에로 영화 감독 봉만대가 만든 전체 관람가같은 시도는 신선하지만, 방식이나 장르의 새로움과 별개로, 이들이 다루고 있는 '가족'에 대하 보다 진전된 '사고'를 다루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숙제를 남긴다. 특히 봉만대 감독의 경우, 그가 고집스레 천착해 왔던 '에로'라는 영역이 가진, 우리 사회 속 '솔직한 욕망'의 이야기가 '전체 관람가'라는 틀에 맞추기 위해, <양양>에서는 드리워지지 않은 채 결국 '기승전 인지상정효'로 한정된 것이 아닌가라는 아쉬움을 남긴다. 아마도 그 아쉬움은 전체관람가에서 '에로'가 아니라, 봉만대 감독만이 할 수 있는 '진솔한' 그 무엇에 대한 기대가 아니었을까. 


by meditator 2017. 10. 30. 1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