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미식회에 나온 식당에 들른 적이 있다. 

첫 방송을 한 신동엽이 말하듯 '이 음식점이 소개가 되면, 이제 사람이 몰려 자리를 잡기도 어렵겠구나싶어 짜증이 났다'는  말이 빈 말이 아니듯, 방송 이후 몰리는 손님은 감담하기 힘들 정도라고 하였다. 온라인 상의 블로그들의 상술적 맛집 소개에 지친 사람들은 시청률과 상관없이, <수요 미식회>에서 소개한 식당들을 믿고 찾아가기 시작하였다. 아마도 <수요 미식회>의 체감 시청률은, 복잒이는 그 식당들에게서, 사람들이 함께 모인 자리에서 너나없이 공감하는 <수요 미식회> 식당들의 이야기에서 찾는것이 맞겠다.  

신동엽의 존재 이유
하지만 어느새, 슬그머니 공인을 얻어가던 <수요 미식회>에 옥의 티가 있었다. 다름 아닌, mc진이었다. 전현무와 김희철로 이루어진 mc진은 <수요 미식회>라는 거창한 제목의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웠다. 매번 음식을 소개할 때마다, 아이돌 코스프레를 하면서 코믹하게 음식을 소개하는 부분 외에 이들 mc의 역할이 무엇일까 갸우뚱하게 만드는 점이 그간 <수요 미식회>에 있어왔다. 어린이 입맛의 전현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회, 소개된 식당을 부지런히 찾아다니며 음식을 먹는 성의를 보인 반면, 김희철은 성의는 둘째치고, 기본적으로 가리는 음식이 그렇게 많은 사람이 어떻게 음식 먹는 프로의 mc가 되었나 싶게 음식에 대한 호불호가 심했고, 당연히 음식을 둘러싼 토크 과정을 소닭보는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드러났다. 입맛이야 어떻든 전현무를 포함한 패널들이 침을 튀기며 소개된 식당과 음식을 두고 이야기를 나누는데 멀뚱하니 시선을 외면한 mc는 어쨌든 불편했던 것이다. 

그랬던 김희철을 대신하여 신동엽이 돌아왔다. 자타가 공인한 '먹는 것을 좋아하고 즐겨하며 맛있는 것을 훤히 꿰고 있는', 심지어 <오늘 뭐 먹지>라는 음식 프로를 진행하는 신동엽이 김희철을 대신하여 mc진에 들어선 순간, 마치 마지막 빈 칸이었던 눈을 채우고 완성되어 날아간 한 마리의 새 그림처럼 <수요 미식회>도 훨훨 난다. 
그간 제 아무리 패널들이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충실하게 풀어내어도, 그걸 mc진이 적절히 받아내거나 수렴하지 못해 걷도는 것 같아 아쉬웠던 프로그램은 마치 손뼉이 짝짝 맞듯이, 어, 하면 아 하는 식으로 비로소 제 자리를 찾아든다. 아쉬웠던 전현무의 스테레오화된 입맛도 신동엽이란 '먹신' 옆에서 그저 조미료처럼 역할로 자리를 찾게 되는 것이다. 
물론 아쉬운 점은 있다. 다른 회사라 하지만 크게 보아서 한 소속사 소속의 신동엽과 김희철이 돌려막기 하듯 mc진을 나누는 식이라던가(전현무도 같은 소속사이다), 또 다시 신동엽을 봐야 한다는 버거움 역시 숨길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사람이 모여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스튜디오 예능에서, 더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먹방' 예능에서 신동엽이 발군이라는 사실을 개편된 <수요 미식회>는 증명한다. 



패널의 전문성 강화
mc진의 개편과 함께 패널진도 변화를 가져왔다. 아마츄어적으로 음식에 접근했던 김유석이나 박용인이 배제되고, 대신 가수이지만 스스로 음식을 하며 책까지 펴낸 바 있는 이현우가 합류했다. 워낙 말수가 많지 않은 이현우의 존재 이유를 첫 회에 다 설명해내기는 어려웠지만, 오히려 두 명의 패널의 배제로 <수요 미식회>가 지향하는 바가 분명해졌다. 

그간 두 명의 아마츄어 패널이 하던 역할을 초대 손님인 윤세아가 대신한다. 마른 몸매와 달리 음식을 좋아한다던 윤세아는 소개된 삼겹살 집을 찾아 거나하게 고기를 먹고, 볶음밥에 칼국수까지 먹는 먹방을 흐드러지게 선보였다. 역시 '삼겹살엔 소주'라며 소탈한 모습도 가감없이 드러냈다. 

그렇게 그간 김유석, 박용인이 하던 역할을 윤세아에게 맡긴 대신, 기존의 패널 강용석, 황교익, 홍신애는 각자의 전문성을 살린다. 
홍신애는 그녀의 장기인 몸까지 써가면서 삼겹살의 부위를 설명해 내고, 보는 이의 입에 침이 고일 정도로 맛있게 굽는 법을 체험케 한다. 강용석은 특유의 박학함을 내세워 삼겹살이 우리나라 특유의 먹거리 방식이 된 역사적 배경을 풀어낸다. 거기에 황교익은 언제나 그렇듯, 삼겹살의 정체성을 갈파한다. 우리도 몰랐던 익숙한 우리 곁의 삼겹살이, 수출을 하고 남은 찌거기 고기에서 시작된 역사적 배경에, 정육점의 기계 도입과 프로판 가스의 설비라는 과학적(?) 성취와 함께 한 절묘한 역사적 순간을, 익숙한 삼겹살의 또 다른 순간으로 맛보게 되는 것이 <수요 미식회>의 장점인 것이다. 먹방에 치중했던 두 패널들이 게스트로 대체되고, 거기에 보다 지적인 패널들의 가세되고, 그런 패널들의 이야기를 신동엽이 연륜으로 커버하면서, <수요 미식회>는 한층 안정감있게, 그리고 전문적으로 '미식'을 논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거기에 이 프로그램이 '먹방'이나 '맛집' 소개가 아닌 '미식'의 이야기 프로그램인 것을 서두에 강조하듯이, 스튜디오까지 분리하여, '서론'으로서의 삼겹살과, 이어, '삼겹살'의 히스토리가 있는 식당을 소개하는 과정은, 여타 '맛집 소개'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고민한 <수요 미식회>의 결과물이다. 그저 유명한 맛집 소개 프로그램이 아니라, 우리 곁에익숙한 음식들을 다시 한번 돌아보고, 그런 음식들을 다루는 음식점 들 중, 한번쯤은 들려볼 만한 역사를 지닌 곳에 대한 회고, 혹은 탐사가 <수요 미식회>라는 프로그램의 정체서이라는 것을 개편된 첫 회에서 분명히 하고자 하는 것이고, 일정 정도 그 취지는 설득력을 가졌다. 스스로 자기 돈을 들여서 까지 다녔다는 성의(?)에, 그런 성의에 얻은 진정성있는 이야기들이 상술적인 맛집 프로그램과 <수요 미식회>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물론 그런 순수성이, 오히려 이 프로그램에서 소개한 맛집 들을 문전성시로 이끄는 아이러니을 낳지만, '문화'로서의 음식에 대한 프로그램의 고민은 개편된 첫 회 충분히 설득력을 지녔다. 

by meditator 2015. 4. 30. 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