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 '꿈'은 희망 고문이다. 남들과 다른 꿈을 가지지 못한 사람은 자신의 평범함으로 인해 '자괴감'을 느끼고, '꿈'을 가진 사람은 사회와 꿈의 부조화로 인해 고통받기 십상이다. 꿈은 날개같지만 마치 태양에 다가가면 녹아버리는 이카루스의 날개같다고나 할까?


하지만 새로운 해를 맞이하여, 우선 그 꿈이라는 것에 대해 한번쯤은 짚어볼 필요가 있다. 애초에 이 시대 젊은이들을 있어도, 없어도 괴롭히는 꿈이라는 것 자체가 시대적 산물이라는 것이다. 근대 이전 신분제 사회에서 '꿈'이라는 것은 불온한 상상에 불과했을 지도 모른다. 즉 이미 태어나는 순간 자신의 삶이 정해진 사회에서 개인의 여지란 한정적이었을테니, 그 말은 즉 꿈은 곧 '근대 이후 신분으로 부터 떨어져 나온 개인의 탄생과 맞물린다는 사실이다. 더 이상 대를 이어 주어진 책무가 없는 사회에서 원자화된 개개인은 자신의 미래를 고민할 수 밖에 없게 되었고, 결국 그 과정에서 유토피아로서 꿈은 탄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마치 꿈이란 것이 애초에 인간 본연의 품성인 양 자기 어깨에 짊어진다. 굳이 밀랍으로 날개를 만들어 태양을 향해 날은 이카루스 부자처럼 인간은 늘 자신의 조건과 한계를 뛰어넘으려 했지만, 그것이 가진 무한대의 조건은 전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산물인 것이다. 물론 그 조차도 후기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사회에 들어서며 새로운 세습 계층이 등장하고, 그런 과정에서 선택지가 줄어들거나, 선택의 여지가 넉넉치 않은 젊은 계층의 딜레마가 바로 이 시대 꿈의 딜레마일지도 모른다. 



흔한 자본주의적 성공이 아닌 꿈의 이야기 
그렇게 꿈이 희망 고문이 된 시대, 한 감독이 만든 두 편의 꿈에 대한 영화를 통해 정유년을 시작해 보고자 한다. 바로 데미언 채즐 감독의 <라라랜드>와 <위플래쉬>가 그것이다. 

2015년 '교육'에 대한 충격적 담론으로 등장했던 <위플래쉬>에 이어 데미언 채즐 감독은 그와는 정반대로 한 편의 아름다운 사랑에 대한 음악극인 듯한 <라라랜드>를 들고 와 한국 관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위플래쉬 1,589,048 명, 라라랜드 12월 31일 기준 2,358,457 영진위 기준)

음악이라는 매개를 제외하고는 접점이 없을 것만 같은 이 두 편의 영화 하지만 뜯어보면 두 영화는 놀랍도록 유사한 면면이 제법 발견된다. 무엇보다 우선 두 편 모두 다루고 있는 음악이라는 것이 '재즈'라는 점이다. 

<위플래쉬>는 최고의 재즈 드러머가 되기 위해 음악 학교에 들어간 앤드류(마일스 텔러 분)가 폭군과도 같은 플랫처 선생(j.k 시몬스 분)를 만나 겪는 우여곡절을 다룬다. 또한 <라라랜드>는 고집스런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 분)이 배우 지망생 미아(엠마 스톤 분)을 만나 겪게 되는 사랑과 꿈의 사계를 다룬다. 

그런데 두 영화 속 주인공인 앤드류와 세바스찬은 모두 '재즈'에 홀린 인물로 등장한다. 그런데 재즈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위플래쉬> 상영 당시 성공과 그를 위한 지옥 훈련과도 같은 플래쳐 선생의 교습법이 화제가 되었지만, 그에 앞서 주목해야 할 것은 그토록 학생들을 죽어라 교육하는 플래처 선생조차도 재즈가 죽어가는 장르라는 것을 인정하는 대목이 영화 속에서 등장한다. 더 이상 젊은이들은 흥미를 가지지 않는 장르, 신기에 가까운 장인들은 존재했지만 '과거의 영광'이 되어버린 장르라는 것을 놓쳐서는 안된다. 즉, 두 편의 영화 속 주인공들이 홀린 것은 마치 현재의 대한민국의 젊은이가 판소리에 홀린 듯한 어쩌면 트렌디하지 않은 꿈의 선택이란 점을 놓쳐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영화는 막연한 꿈이 아니라, 이제는 더 이상 세상 사람들이 관심을 갖지 않은 트렌디하지 않은 것에 빠져든 시대 착오적인 젊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꿈에의 헌신'이라는 것이 정확한 포인트다. 

그리고 식구들과의 식사 자리에서도 하다못해 3류 미식축구 팀의 사촌보다도 못한 존재감을 가진 재즈, 이젠 함께 하던 동료들 조차 철 지난 장르라 여기며 새로운 트렌드로 앞서 따라가는 그 장르에 미친 주인공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길에의 여정은 그것이 꿈인 한에서 여전히 질곡의 계절을 겪을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두 편의 영화는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드럼에 피가 튀고, 재즈를 잘하고 싶었으나 플랫처 선생의 학대에 가까운 교습법에 견디다 못한 선배가 결국 우울증을 못이겨 자살을 해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자신의 교습법에 대해 양보하지 않는 선생과 그런 선생에 못지않은 제자의 기 싸움의 결과물인 마지막 연주 시퀀스가 보여준 재즈 연주 실연의 백미는, 절창을 위해 자식의 눈멈을 방조한 <서편제>의 위악에 맞먹는다. 단지 그것이 화려한 연주와 아름다운 사랑이라는 토핑, 그리고 무엇보다 이국의 음악이라는 장식이 우리에게 와 재즈라는 소외된 장르보다 '성공'에 방점이 찍힌 채 다가온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한 꿈의 여정 
이 두 편의 영화는 공교롭게도 제목에서 중의적 의미를 띤다. <위플래쉬>가 영화 속 삽입된 연주곡 제목임과 동시에 채찍질이라는 영화 속 교수법을 상징하고 있듯이, <라라랜드>는 영화 속 배경이 되는 두 젊은이의 꿈이 펼쳐지는 지리적 장소인 LA와 헐리우드로 상징되는 꿈의 나라라는 역시나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영화 속 직접적인 소재이자, 동시에 영화 구성의 특징을 제목으로 한 두 영화는 '꿈의 여정'을 적나라하게 그려낸다. 

재즈 드러머로서의 선망으로 꿈에 부풀었던 신입생 앤드류가 플랫처 선생의 눈에 띠어 졸지에 월반을 하며 재즈 드러머로서 짧은 인정과 그 짧은 성공보다 더 큰 낙차를 겪으면서도 결국 포기하지 않고 무대에 올라 선생을 이겨먹으며 결국은 그토록 선생이 원하던 그리고 결국은 자신이 도달하고자 했던 장인의 경지에 도달하는 과정과, 세상이 알아주지 않는 재즈 드러머로서 LA를 전전하다 자신처럼 꿈을 가진 엠마를 만나 그녀와의 사랑을 위해 자신의 꿈을 윤색하고 왜곡하던 세바스찬이 마치 거울 앞에서 선 누이처럼 비로소 자신이 원하던 바를 이루는 과정은 비록 과정은 다르지만 질곡어린 꿈의 여정이다. 또한 공교롭게도 그들은 자신이 원하던 꿈은 이루었지만 사랑까진 얻을 수는 없었다.

그건 엠마 역시 마찬가지다. 사랑 영화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그들의 사랑은 언해피엔딩이겠지만, 꿈의 동지로서 보자면 영화는 각자의 삶에서 해피엔딩이다. 뒤늦게 니콜을 챙길 여유가 생긴 마일스가 니콜에게 전화를 걸었지만 이미 니콜에겐 함께 할 애인이 있듯이, 단지 그들이 함께 하는 여정의 궤도가 달랐을 뿐. 영화는 말한다. C'est la vie



흔하디 흔단 일상적인 성공과 꿈에 대한 이야기처럼 전달된 <위플래쉬>와 <라라랜드>가 던진 기본적인 질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당신이 원하는 꿈은 무엇입니까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영화 속 마일스와 세바스찬이 도달한 그곳은 자본주의 사회 속 성공의 그것과는 분명 류가 다른 것이다. 그리고 비록 세상이 외면하는 그 꿈이라도 당신의 모든 것을 걸 준비가 되어 있냐고 덧붙인다. 바로 그런 고집스런 재즈에 대한 열망을 담은 데미언 채즐 감독의 질문을 이제는 좀 달라져야 할 정유년의 시작에 공유해 본다. 
by meditator 2017. 1. 1. 1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