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영화하면 느와르라는 말이 딱 떠오를 만큼 어둠의 세계를 그린 작품들이 대세를 이룬다. 그 '대세'로 인해 이제는 노년줄에 들어가는 한때 청춘들에게 '로망'의 대상이었던 홍콩 영화는 뜨고, 져버렸다. 그리고, 최근 '범죄물' 중심의 우리 영화를 두고, 홍콩 영화를 빗대 우려를 표명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지난 주 <전체 관람가>를 통해 선보인 이명세 감독의 <그대없이는 못살아>를 보면 상업 영화, 그 중에서도 스토리 중심의 이야기에 한국 영화계가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가가반증된다. 하지만 스타일리스트 이명세 감독이 그 스스로 한번도 현역을 떠난 적이 없다 하지만10년만에야 tv 예능 프로그램이 마련한 단편 영화를 통해 신작을 선보일 수 있듯이, 최근 박스 오피스에서도 보여지듯, 작품성있는 영화라 평해져도, 화끈한 오락적 요소를 가미한 범죄 영화의 아성을 무너뜨리기가 쉽지 않다. 그렇게 기울어진 운동장에 용감하게 플레이어로 등장한 한 사람이 있다, 바로 <기억의 밤>의 장항준 감독이다. 




이게 도대체 몇년 만인가? 감독 장항준!
이명세 감독이 10년만이라지만, 영화감독 장항준은 도대체 얼마만인가? 그의 필모를 검색하면 2008년작 <전투의 매너>와 <음란한 사회>가 등장하지만 우리가 기억하는 감독 장항준은 2002년 <라이터를 켜라>와 2003년 <불어라 봄바람>의, 그리고 <북경반점(1999)>, <박봉곤 가출 사건(1996)>의 각본 그 기발한 상상력의장항준이다. 그 이후로 아내 김은희 작가와 2011년작 <싸인>으로 화려하게 부활했으나, 불운의 명작이라 일컬어지는 2012년작 <드라마의 제왕>으로 그의 작품을 tv에서도 보기 힘들어졌다. 예능 프로그램과 특별 출연은 빈번했지만, 감독으로서 그를 만날 수 있었던 건 <무한도전>을 통해서였다. 그런 그가 '정말' 오랜만에 작품을 들고 감독으로서 돌아왔다.

하지만 <기억의 밤>이 반가운 것은 장항준의 작품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앞서 언급했듯, 범죄 영화가 주류를 이룬, 혹은 역사물이라 하면 역사적 사실을 복기해내는 정도에 머무르는 제작 환경에서 모처럼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둔 '창작물' 본연의 가치를 살린 작품의 등장이라는 의의가 <기억의 밤>을 돋보이게 만든다. 

영화는 흔히 우리 영화계에서 빈번하게 차용되는 원인과 결과가 '기승전결'의 형태로 연결된 서사의 방식을 뒤집는다. 서사의 시작은 21살의 삼수생 진석(강하늘 분)의 악몽으로부터 시작된다. 고문의 장면으로 연상되는 악몽을 꾸다 깨어나는 진석, 그런 그를 맞이한 건 이제 막 새집으로 이사를 하려고 하는 그의 가족, 아버지(문성근 분)와, 어머니(나영희 분), 그리고 형 유석(김무열 분))이다. 

그런데 새로 이사온 집이 낯설지 않다. 더군다나 먼저 집주인이 짐을 남기고 간 방이 자꾸 진석의 신경을 거스른다. 거기에 설상가상으로 어느날 형이 납치되고, 19일 만에 돌아온 형은 어쩐지 진석이 알던 그 형이 아닌 거 같은데.
그의 전작을 통해, 그리고 외모의 분위기를 통해 선한 인상이 각인된 강하늘이라는 배우가 진석으로 등장하고, 그 주변의 인물과 상황이 '의심'을 더해가며 당연히 관객은 진석과 함께, 이 '호러'인지, '스릴러'인지 헷갈리는 영화 속으로 흡인되어진다. 






스릴러를 통해 현대사의 비극을 설득하다
하지만, 이 영리하고 교묘한 전략은, 이 이후 진행되는 반전을 통해, 애초에 장항준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1997년 imf가 한국 사회에 끼친 상흔을 설명하는 가장 절묘한 장치로 작동한다. 결국 가해자도, 피해자도 모두, 한국 사회에 불어닥친 뜻밖의 위기, 그리고 그 위기 속에서 전혀 사회 안전망 없이 '가족'의 단위로 그 파고를 맞닦뜨리며 극단적으로 해체되어 가는 가족, 그 속에서 파멸을 맞게 되는 개인을 영화는 가슴아프게 설득해 낸다. 

초반부의 한 치의 앞도 예측하기 힘든 스릴러의 모양새가 후반부에 가서 장황한 부연설명으로 이 뒤엉킨 사태를 설명해 내는 아쉬움은 남지만, 애초에 이 영화의 방점이 그 시대의 아픔을 표현해 내고자 하는 것에서 부터 출발한 것이기에 불가피하지만 충분히 여운이 남는 사족으로 인정될만 하다. 

무엇보다 <기억의 밤>이 돋보이는 건, 마치 나비 한 마리의 몸짓이 불러오는 토네이도처럼, 한 국가, 한 사회의 위기가, '금모으기' 따위의 운동으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미담'으로 치부될 수 없는, 그 사회 소속 개인들의 몇 십년이 지난 삶에까지 비극적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는 묵시록적 주제 의식이다. 그러나 이 묵직한 주제 의식을 그간 한국 영화가 해오듯 직설적이고 선언적으로 다룬 것이 아니라, 마치 이미 맞춰진 퍼즐의 판을 새로이 뒤집어 하나하나 맞추어 가듯, 장항준이라는 각인이 분명하게 아로새겨진 '기발한 창의력'에 기반을 둔 트릭과 설정으로 풀어가려 했다는 점이다. 특히, 이렇게 선후가 바뀌어진 이야기에, 퍼즐 맞추기식 스릴러가 빠질 수 있는 삼천포를 한국 사회 자체의 질을 변화시킨 분명한 시대적 사건에 발을 딛은 굳건한 중심을 놓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모처럼 제대로 영화다운 영화 한 편을 봤다는 쾌감과 함께, 현대사에 대한 회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양 손에 쥐고 뿌듯하게 돌아오게 만든다. 역시 장항준이다. 
by meditator 2017. 12. 3.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