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가진 젊은이들, 그러나 여전히 취업이 어려운 현실, 그에 반해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 기업들, 이 취업 시장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sbs스페셜이 나섰다. 6월 10일 방영한 <취준진담 역지사지 면접 프로젝트> 배우 조우진을 내세운 '노오력 인력 사무소'를 통해 지금까지 취업을 하기 위해 취업자가 기업의 담당자들과 면접을 보는 발상을 전환하여, 취업자들이 취업하고자 하는 기업을 '면접'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이 시대 청년들의 '노오력'에 대해 살펴 '취업자' 중심의 구직을 시도해 본다. 




역지사지 면접 프로젝트 
이를 위해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 대표 혹은 담당자들이 젊은이들에게 면접을 '당'하기 위해 나섰다.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저비용 항공사 티** 항공 경영본부 김형이 상무, 한방차 카페라는 획기적인 아이템으로 전국에 100여 개 프랜차이즈 사업을 벌이고 있고 최승윤 대표, 그리고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스타트업 회사 여기 **의 인사 총괄 맥스 이사. 이들은 각자 회사의 성과급을 직원들에게 나누어 준다던가, 월요일 오후 1시 출근에 주 4.5일 근무, 6시 정시 퇴근 독려 등 일하고 싶은 환경, 그리고 주 35시간 하루 세 끼 식사 제공에 각종 복지 정책을 자신감있게 내세우며 면접장에서 자리한다. 

하지만 이들은 당당하던 자신감은 취준생 면접관들과의 몇 마디 대화에서 무너지기 시작한다. 이들을 당혹스럽게 만든 이들은 직장을 다니면서도 400여 개의 지원 서류를 작성해 본 김연재 , 취업을 위해 대학에 적을 둔지 8년차인 11학번 김은하, 장래를 위한 자신의 전공인 성악 외에 정치학을 복수 전공하는 김희원, 인턴 2번, 정규직 1년차에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새로운 직장을 찾는 32살의 중고 신입 김필립, 각종 단기 알바를 섭렵하고 이제 계약직 만료를 앞둔 서자영, 그리고 취업 준비 2년차 자소서만 155개째 작성하고 있는 김희원이다. 

면접을 하는 위치이지만 이미 그 자리에 나설 기업에 대해 조사를 다 하고 나온 이들은 예리하게 각 기업의 문제점을 파고든다. 급성장하고 있는 자부심을 피력한 티** 항공의 상무는 회사 내 잦은 퇴직에 대해 '열정'이 부족한 게 아닌가라는 답을 했다가, 취준생들에게 '꼰대'라는 혹독한 평가를 받는가 하면 주 4.5일의 근무 환경에 대표 면담이라는 화려한 근무 조건을 내세운 최대표는 대표 면담이라는 게 대표만의 자의적 소통 방식이 아닌가 라는 반문에서 부터, 연봉 2000 만원이라는 낮은 급료가 혹시나 '열정 페이' 아닌가 라는 질문에 그만 말이 막히고 만다. '여기 **'역시 마찬가지다. '맥스'라는 생소한 외국 이름에서 부터, 1년 안에 획기적인 근무 환경 개선이라는 그의 장담은 취준생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한다. 

무엇보다 취준생들과 기업 담당자들 사이에 가장 큰 '간극'을 보인 건 '야근'에 대한 문제이다. 회사와 함께 성장하기 위해 때로는 '야근'도 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는 기업 측의 생각에 취준생들은 그게 바로 '열정'을 거저 이용하려는 의도가 아니냐 맞선다. 그리고 잦은 이직을 그 증거로 내세우며, '열정' 대신 '페이'를 요구한다. 

1박 2일에 걸친 합숙과 술자리까지 거친 심층 면접, 취준생들의 평가처럼 기업 담당자들은 면접의 요소요소에서 여전히 젊은이들의 노오력에 대해 '안이하게' 바라봤으며, 그들의 '열정'에 무임승차하려는 가치관을 숨길 수 없었다. 또한 젊은이들이 구직 시장에서 자신을 내던지며 전투에 임하는 태도와 달리, 술자리에만 가도 긴장이 풀려 예의 '꼰대'다운 훈계를 내놓고 만다. 심지어 '노오력'에 대한 마지막 정의의 과정에서 기업 담당자들은 어설픈 비누 조각이나, gps 인증, 혹은 영화 속 설정을 통해 어설픈 이벤트로 젊은이들의 마음을 잡으려 해 실소를 자아내고 만다. 결국 1박 2일의 노오력 면접이 보여준 건 여전한 '꼰대'들의 '열정'에 대한 정당하지 않은 사고 방식과 이 시대 젊은이들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다. 



열정과 페이의 간극 
하지만, 정작 이 '역지사지'다큐가 보여준 건, 이 쉽게 잇닿을 수 없는 구직자와 구직 담장자의 사고 방식의 차이가 아니다. 1박2일의 합숙이 끝나고 최종 선택이 있던 순간, 가장 꼰대스러워 젊은 구직자들에게 지탄을 받던 티** 항공사가 성과급을 준다는 이유로 그럼에도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는 점이다. 하룻밤을 보내던 구직자들은 그들이 면접 과정에서 지적했던 이러저러한 사안과 달리, 결국 의견을 '돈'과 '비전'으로 모은다. 그러기에 3개의 직장 중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티** 항공사와 여기 **가 취준생들의 선택을 받는다. 거기에 반해 현실적으로 가장 직원 복지가 좋고, 대표의 노력과 열의가 돋보였던 카페 프랜차이즈 회사는 단 한 명의 선택도 받지 못하고 만다. 

결국 울음을 터트린 최대표, 그는 울며 말한다. 그 누구의 선택도 받지 못한 이 현실이, 결국 자신과 함께 일하면서도 남들에게 자랑스레 자신의 직장에 대해 자부심을 내보일 수 없는 자기 회사 직원들의 현실이 아닐까 하는 회한의 눈물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취준생'의 역지사지 면접으로 시작하여, 연봉 2000만원 밖에 줄 수 없는 중소기업의 비극사로 끝을 맺게 된 다큐. 

6명의 취준생들 중 그 자리에 나온 기업을 택한 3명은 '꼰대'라도 확실한 경제적 보장과 미래의 가능성이 있는 회사를 선택했다. 한 명은 노력가능해 보이는 미래에 투자했다. 반면 6명 중 2명은 여전히 그 어느 회사도 선택하지 않았다. 그들은 야근 등에 대한 정당한 노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삶의 질을 보장하지 않으며, 수평적 인간 관계를 누릴 수 없다는 이유에서 였다. 8년이 넘는 구직 기간도 여전히 자신이 원하는 직장에 대한 로망을 접게 만들 수는 없었다. 

그런데 과연 저 자리에 나와 여전한 '꼰대'스런 사고 방식과 어설픈 노오력(?)을 보인 기업 담당자가 대기업에 속한 사람이라도 수평적 기업 문화와 삶의 질이 선택하지 않는 핑계가 될까? 애초에 청년들의 '노오력'과 열정에 대한 정당한 요구를 드러내기 위해서 였다면 역지사지 면접에 나서야 할 사람들은 대기업 담당자들이 아니었을까? 

구직자의 3%만이 들어갈 수 있다는 대기업, 그에 비해 기업 문화를 변화시키며 노력해도 구직자가 원하는 페이를 줄 수 없는 반면, '열정'이 필요한 심지어 미래조차 불투명한 중소 기업, 이 딜레마가 해결되지 않는 한, 삶의 질과 안정을 추구하려는 구직자들의 구직 행렬과 중소기업의 구인난이 서로 잇닿을 수 있는 길은 희박하지 않을까라는 '현실'을 다큐는 다시 한번 보여주고 만다. 
by meditator 2018. 6. 11. 16:3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