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1(12부)보다 조금 길었던 <청춘 시대2(14부)>도 결국 또 이렇게 끝났다. 박연선 작가답게 마지막인듯, 마지막이 아닌듯 한껏 여운을 남기고 마무리를 지었고, '하메'들은 마치 오랜 친구에게 하듯, 카메라를 향해(시청자들에게) 또 보자, 다녀오겠다, 잘 지내라 인사를 남겼다. 시즌 1부터 '거짓말'을 밥먹듯했던 지원보다는 '쏭'이 더 익숙한 송지원(박은빈 분)의 '이명'까지 얹힌 곡진한 개인사 아닌 개인사는 시즌2의 대장정 끝에 비로소 매듭을 지었다. 하지만, 시즌1부터 남친인듯 남친 아닌 친구 사이 성민(손승원 분)과의 '진도'는 여전히 다음을 기약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식이다. 흔한 미니 시리즈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하메'들의 이야기는 그들이 몰입했던 대상에 따라 흡족하거나, 흡족하지 않은 채 시즌이 마무리되었다. 결국 또 다음 시즌을 기약해야 하는 건가? 하지만, 다음 시즌이라고 다를까? 청춘들의 이야기는 그렇게 꼬리에 꼬리를 물고 매듭이 지어지고 다시 풀어져 가는 것을. 




여전히, 그리고 다시 각자가 짊어진 삶의 무게들
시즌 1에서의 캐릭터들 중 강언니(류화영 분)를 제외한 모든 하메들이 남은 가운데(은재 캐릭터는 배우는 바뀌었지만) 강언니의 빈자리를 조은(최아라 분)이 이제 시즌2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돌아보면 천양지차인 의뭉스러운 존재감으로 시즌을 열었다. 

키 만큼이나 정체성이 의심이 가던 조은의 존재에 대한 해프닝으로 시작했지만, 시즌2는 각 캐릭터별로 시즌 1에서 자신이 부딪쳤던 삶의 과제를 고스란히 짊어지고 시작한다. 시즌 1에서 집착을 넘어 데이트 폭력이 되고만 남친과의 기억에서 놓여나지 못해 대인기피증에 시달리는 예은(한승연 분), 가정사의 그늘에서 벗어나 첫사랑을 시작했지만 이제 그 사랑의 아픈 기억만을 부등켜 안은 은재(지우 분), 그리고 스스로 동생의 목숨을 걷으려고 까지 하며 삶의 기로에 섰던 진명(한예리 분)의 첫 직장 생활, 그리고 가장 밝았지만 가장 뜻모를 이명에 시달리던 쏭, 그리고 거기에 또 다른 가정사의 짐을 진채 헌책방에서 발견한 쪽지를 따라 흘러온 조은까지.



시즌 1의 강언니나 진명에게 닥친 문제가 우리 시대의 사회적 접점과 맞닿아 보다 큰 공감의 진폭을 가진 반면, 이제 시즌2에서 각 하메들의 문제는 예은의 데이트 폭력이나, 그리고 시즌의 마지막 쏭이 과거의 기억에서 길어올린 아동 성추행 등은 여전히 '사회적'인 파장을 가진 소재이지만, 시즌 1에 비해 가벼운 소재가 아님에도 보다 '사적'인 느낌으로 다가온다. 아마도 그건, 그 주제가 '보다 사적'이라서보다는, 시즌1의 진명이나 강언니가 맞닦뜨린 접점이 사회라면, 이제 시즌2의 예은이나 쏭의 문제들은 보다 '개인적'으로 '천착되어진 지점이 깊어서이기 때문이다.

예은이 겪은 데이트 폭력의 상흔이나, 쏭의 상실된 기억은 드라마의 과정에서 조은의 가정사로 부터 비롯된 자신감 부재와, 은재의 실연과 씨실과 날실처럼 엮여 시즌 2를 채워간다. 마치 작가가 그들이 겪는 각자가 짊어진 삶의 무게가 더하고 덜하다 말할 수 없다 하는 것처럼. 그건 어쨋든 지금 그건 그들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심각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그 누군가에겐 시즌 2의 <청춘시대>가 이도저도 아닌 뜨뜻미지근한 결말일지 몰라도, 그러나 다섯 하메들은 저마다 각자의 실타래의 한 매듭을 풀었다. 고개를 들지도 못하고, 세상에 한없이 도망치던 예은은 친척들이 모인 앞에서 당당하게 자신이 데이트 폭력을 겪었다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과정은 쉽지 않았다. 그녀를 돌보던 친구는 오히려 그녀에게 문자 메시지로 폭언을 퍼붓는 뜻밖의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 과정을 통해 예은은 자신의 아픔을 객관화하고 동시에 다른 사람들을 돌아볼 수 있는 한 뼘의 성장을 이루었다. 



저마다의 결자해지 
시즌 2의 주제를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바로 이 '객관화'가 아니었을까? 시즌1에서 알바를 하며 고달프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자기 껏만을 챙기던 진명은 시즌1의 그 진명이 맞나 싶게 해체된 아이돌 그룹 해임달을 뒷감당하느라 고전한다. 하지만, 그녀가 시즌 1에서 삶이 버거워 동생의 목숨까지 거두려했던 그 고통을 되짚어 보면, 이제 또 동생 또래의 한 청년의 죽음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건 너무도 명확하다. 또한 한없이 낙관적으로 꿈을 이야기하는 이 가망없는 아이돌을 바라보는 진명의 복잡한 눈빛은 처절했던 자신의 지난 시간 또한 복기했을 것이라고 짚어진다. 해임담을 '처리'하라는 직책으로부터 시작된 진명의 수난기는 다른 이름으로 앞뒤 가리지 않고 살아왔던 진명의 '자기 객관화'의 시간으로 시청자들에겐 읽혀지는 것이다. 

그렇게 진명이 해임달을 통해 그랬듯이, 예은은 친구의 폭력적 메시지 폭력을 통해, 조은은 풋풋한 첫사랑을 통해, 은재는 바닥을 치는 처절한 사랑의 복귀 실패를 통해, 그리고 쏭은 문효진의 죽음을 통해 상실된 기억을 불러오며, 각자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게 된다. 



그리고 수동적이기만 하던 은재가 종열 선배 앞에서 자신의 속마음을 그대로 드러내보이며 자존심이 무너져가며 사랑의 바닥을 드러내 보이고서야 비로소 사랑의 끝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게 되듯이, 박연선 작가는 자신의 모습을 가감없이 바라보고 받아들일 때 하나의 매듭이, 한 사이클의 성장이 마무리된다 시즌2를 통해 말하고 있는 듯하다. 

누군가는 시즌 2가 시즌 1에 비해 어쩐지 스케일이 작다 말할 지도 모르겠지만, 세상과의 싸움만큼이나, 아니 어쩌면 진짜 더 어려운 건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라는 지점에서 <청춘시대2>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깊다. 오히려 세상과의 전선은 더욱 분명해 질 수록, 나 자신과의 접점은 놓쳐버리기 쉬운 시대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시작과 끝은 나 자신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밝히는 청춘 드라마를 만날 수 있는 건 이 시대 청춘들의 축복일 지도. 

그러기에 다시 또 감질나는 이 14부작의 다음 시즌을 떠올리게 된다. 마치 네버엔딩의 청춘 서사를 그리듯이. 하지만 그런 반면, 이제 한편으론 박연선 작가의 또 다른 이야기가 기대되기도 한다. 어쨋든 무엇을 그리든 박연선월드가 여전히 확고하다는 건 분명하니까. 
by meditator 2017. 10. 8. 04:28